
회사에서 업무 중 OOM이 발생하며 트러블 슈팅을 하면서 배웠던 내용들을 공유드릴려고 합니다. OOM이란? out of memory의 앞글자에서 따온 말로 heap 영역에 인스턴스나 더미 데이터들이 정해놓은 heap 크기보다 커졌을 때 보통 발생합니다. 또는 스레드 스택 메모리나 메타 스페이스 등에 데이터가 꽉차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더 이상 인스턴스에게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수 없기 때문에 서버는 에러를 내고 서버를 죽입니다. 다음은 OOM이 발생하는 코드를 만들어봤습니다. 이 코드에선 계속해서 ArrayList에 데이터를 append하여 추가하다가 어느 순간 메모리 공간이 부족해지면 에러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이 동작을 멈출 것입니다. fun main() { val list = mut..
Java
2023. 9. 27. 01:22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취준
- 개발
- 취업
- 자바
- CS
- 프로그래밍
- 백엔드
- 인터뷰
- Kotlin
- 코딩
- 면접
- 면접준비
- 프로젝트
- MySQL
- 동시성
- DevOps
- 코드
- DB
- docker
- JPA
- 면접 준비
- Spring
- IT
- Redis
- 게시판
- lock
- 개발자
- 취업준비
- java
- threa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